일반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보호적인 작업환경 하에서 근로의 기회를 제공하고 노동의 댓가를
지급함으로써 경제적 자립을 통해 근로자의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직업훈련, 상담, 사례관리 등을
통해 직업능력을 향상과 함께 계속 고용이 가능하도록 유도하고, 다양한 재활프로그램 운영으로 장애인들이 지역 사회의
구성원이 되어 삶의 질이 보다 더 윤택해질 수 있도록 하며, 지역사회의 올바른 인식제고와 사회통합을 하고자 한다.
지급함으로써 경제적 자립을 통해 근로자의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직업훈련, 상담, 사례관리 등을
통해 직업능력을 향상과 함께 계속 고용이 가능하도록 유도하고, 다양한 재활프로그램 운영으로 장애인들이 지역 사회의
구성원이 되어 삶의 질이 보다 더 윤택해질 수 있도록 하며, 지역사회의 올바른 인식제고와 사회통합을 하고자 한다.
직업상담
직업상담을 통하여 서비스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직업적 욕구를 가진 장애인 및 그 가정의
문제해결을 돕고 직업적, 내적 역량 강화를 위한 동기를 부여한다.
문제해결을 돕고 직업적, 내적 역량 강화를 위한 동기를 부여한다.
직업(현직)평가
직업재활서비스의 적격성을 판정하고 재활서비스에 관한 체계적인 평가계획을 수립하고, 근로장애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직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적성에 맞는 직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직업적응훈련
개인 수준에 맞게 작업공정에 배치하고, 발전 가능이 있거나 능력저하의 근로자의 경우에는 심화훈련을 통해
직무능력향상을 하도록 하며, 출퇴근 교육을 통해 안전한 직장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직무능력향상을 하도록 하며, 출퇴근 교육을 통해 안전한 직장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개인·사회생활 적응훈련
지적 및 자폐성 장애인의 경우에는 지역의 시설을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전체 근로장애인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적응력을 높이도록 한다.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적응력을 높이도록 한다.
가족회(부모상담 및 교육)
시설내에서 근로장애인들의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유도하고 보호자에게는 시설 운영 및 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킴으로써 근로장애인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이해를 도모한다.
향상시킴으로써 근로장애인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이해를 도모한다.